iOS 앱개발 & 라즈베리파이 서버운영 & 워드프레스 블로그 광고수입 & 에어소프트 & 자작만화

다스 알파모터 장착 후기(GDR15 22년식)

Share with : 

다스(GDR15)를 처음 접했을때 느낌

22년도에 다스를 스켈레톤킷으로 신품구매하였다. cqb버전 말고 길다란 버전으로.

트리거가 많이 이질감이 느껴진다는 소문을 듣긴 했는데, 일단 적응되니 사용할만 했다.(화글록 트리거보단 10배정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집구석에서 시험사격 할때는 몰랐지만, 다스로 게임을 뛰어보니 다스에 대해 게임용으로는 그닥 적합하지 않다는 많은 사람들의 선입견에 대해 약간은 이해할 수 있었다.

아래 사진은 칼라파트 부착 및 알파모터가 장착된 현재 다스다.(알루순정볼캐 장착)

다스를 게임에 투입했을때 발생한 문제점

  1. 더블피딩
  2. 단발광클 불가능(단발을 최대한 빨리 여러번 쏘는것)
  3. 모터의 빠른 과열

더블피딩

다스를 사용중 해당 결함 발생시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된다.

볼트캐리어가 챔버에 뭉개진 비비탄때문에 끝까지 전진하지 못하고, 격발이 된다고 해도 노즐이 챔버에 밀착하지 못하여 에어로스가 생긴다.

결국 비비탄이 멀리 나가지 못하고 탄속이 급감한다.

더블피딩으로 챔버에 떡이된 빕탄을 제거해주고 나면 정상작동 하지만, 일단 진행중인 게임 한판은 그냥 날리게 된 것이나 다름없다.(그래서 난 다스를 쓸때 보조무기와 여분의 보조무기탄창을 꼭 챙겨간다)

더블피딩의 원인은 비비립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사용해보니 오래된 비비립의 경우에는 볼캐가 왕복할때 가끔 두발이 튀어나오는 경우가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체감상 90퍼센트)의 더블피딩은 꽉찬 탄알집을 실전처럼 슉 하고 힘차게 꽂았을때 발생했다.

탄알집에 탄이 최대치로 차 있는 경우, 탄알집이 탄창멈치에 탁하고 걸리는 순간 비비립에서 한발이 그냥 위로 발사가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탄알집을 넣을때 살살 넣거나, 애초에 탄알집에 탄을 다 넣고 2~3발 손가락으로 탄을 제거한뒤 사용하면 되었다.

단발광클 불가능(단발을 최대한 빨리 여러번 쏘는 것)

사실 이부분이 실제 다스를 운용하는데 가장 걸림돌이 되었던 부분이었다.

주로 가스건이나 전동건을 게임에 사용하다보니, 트리거 사용시 감각이 그 둘에 익숙해져 있는 상태인 경우가 많다.

가스건이든 전동건이든 단발로 광클을 해도 요새는 사이클이 꼬이는 일이 없다.

가스건이면 트리거 리셋이 되기 전까지는 광클을 해도 안나갈 것이고, 전동건은 요새 전자트리거로 인해 사이클이 꼬일 일이 거의 없다.

하지만 다스 이녀석은 다르다.

다스는 단발로 광클을 해버리면 볼트캐리어가 왕복운동을 마치기 전에 트리거를 당기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런 상황이 생기면 내 다스는 항상 맛이 가기 시작했다.

항상은 아니지만 가끔씩 단발인데 점사처럼 볼트캐리어가 2~3번 왕복하며 탄은 딱 한번(맨 처음 격발시)만 발사된다.

그러니까, 2점사처럼 움직였지만 두번째 탄은 발사가 안된다.(홉업고무엔 현재 빕탄이 두개 끼인 상태)

가끔 3점사가 되면 홉업고무 근처엔 비비탄이 3개 끼인 상태다.(끼인 비비탄은 발사 안됨)

점사 사이클이 끝난 뒤 격발을 하면 마치 샷건마냥 두발내지 세발이 힘없이 고꾸라지며 날라간다.

이런 상황이 오면 사실상 겜에 쓸 수가 없어서 블랙카우택티컬스토어에 2번씩이나 수리를 맡겼었다.

하지만 수리후 정상으로 되는건 잠깐 뿐이었고, 습관적으로 단발광클을 하면 저 증상이 또 발생했다.

다스를 쓰려면 단발을 저격총처럼 딱 딱 딱 느리게 끊어서 쓰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는 게임에서 전투력 손실을 의미했고…

그렇게 나는 점점 게임에서 다스를 쓰지 않게 되어갔다.

모터의 빠른 과열

다스를 게임에 쓰다보면 어느새 그립이 후끈후끈 뜨거워지는걸 느낄 수 있다. 모터가 들어가므로 약간 어쩔 수 없다고 느껴지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다른 전동건에 비해선 훨씬 빨리 과열되는 경향이 있었다.

사실 다스는 탄창에 비비탄이 많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게임중 크게 걱정이 되는 부분은 아니었다.

알파모터 장착 후 단발 사이클 측정

발사장면을 녹화한 뒤, 소리를 추출하여 1사이클에 걸리는 시간을 비교해보았다.

소리의 크기가 특징적으로 큰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사이클을 측정해보았다.

종류1사이클에 걸린 시간
옛날 모터(브러시)0.135초
알파 모터(브러시리스)0.105초

알파모터가 브러시모터보다 0.03초 더 빨리 사이클을 끝냈으며, 대략 22%의 사이클 시간을 단축하였다.

실제 소리를 궁금해 하실 분들이 있을것 같아서 소리 비교에 직접 사용했던 동영상을 첨부해 보았다.

일단 일반모터 단발(사이클 꼬이지 않을 속도로 빨리 단발 씀)(옛날 게임에서 촬영한 영상을 활용하였다)

아래는 알파모터 장착후 단발

궁금하신분들을 위해 알파모터 연사영상은 바로 아래에 있다.

주관적인 결론

이번 알파모터는 향후 출시될 모터중 중간정도의 퍼포먼스를 가지고 있다고 들었다.

개인적으로 단발 광클을 즐기시는 분이라면 알파모터보다 더 빨리 돌아가는(43k)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할 것을 권하고 싶다.

내가알기로는 29k, 36k, 43k 이렇게 세종류가 있다고 들었는데, 이번 알파모터는 36k 라고 들었다.

회전수가 빨라질수록 배터리 소모야 증가하겠지만, 애초에 브러시리스모터는 배터리 소모가 적고 발열도 적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것은 아닌것 같다.

배터리야 여분을 더 준비하면 되니까!

부디 많은 사람들이 이 글을 읽고 모터 선택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다음 게임에 실전 투입해보고 후기 글을 올리도록 하겠다.

Stay Connected

More Updates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